[su_dropcap size=”4″]솔[/su_dropcap]로용 화목버너의 장점은 일일히 거론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거의 무한대의 연료인 작은 솔방울과 나무가지 같은 다양한 재료들을 이용해 조리를 하는 매력은 충분히 장기 아웃도어링에서는 훌륭한 장비이다. 아무리 좋고 유용한 버너도 연료가 떨어지면 쓸모가 없지 않은가.
다양한 구조와 모양의 개인용 화목버너들은 주로 매니아층들에 의해 고안되고 만들어지는 문화가 외국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사람이 설계도를 고안하면 또 다른 사람이 그걸 만들어내고, 그걸 또 업그레이드 해서 공유하는 등의 문화 말이다.
주로 부시크래프트와 미니멀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그 주인공 들인데, 유투브에서 그들의 연구와 실험에 대한 영상들을 보고 있노라면 꼬박 밤을 샐 정도로 흥미진진하다.
싼 연료인 알콜버너를 이용하다가 그것마저 떨어지면 나무를 사용하는 개인용 화목버너는 서브 버너로 무척 매력있는 장비다
그중 그들에게서 거의 공인되다 시피한 장비가 있었으니 바로 1990년대에 고안되고 2001년도에 상업화되어 판매되기 시작한 부시버디 (Bush Buddy) 라는 솔로용 화목버너이다. 이 제품은 당시 개발자에게 주문이 들어오면 일일히 수작업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방식이었는데, 이후 라이센스를 넘겼는지 아님 그냥 카피하는걸 놔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다양한 카피. 복제품으로 판매되기 시작한다.
솔로용 화목버너의 시조새. 부시버디 (Busy Buddy)
나 또한 이 당시쯤 이 제품을 구입해서 오리지널 버전을 소장하고 있다. 구입당시에는 좀 무거운 버전과 좀 더 비싼 울트라 라이트 버전인 티타늄 버전등 두가지 종류를 판매했던것 같은데, 한창 백배킹에 빠져 있었던 때라 티타늄 버전을 구입했다.
그리고 첫 개시를 하던 날을 기억한다. 백비킹 산우들 앞에서 이런 제품이 있다고 한창 자랑을 늘어놓은 후에 나무를 넣고 작은 포트를 올린후 라면을 끓였는데, 생각치도 못한 일이 벌어진다. 다 좋은데 포트가 나무 검댕이로 새까맣게 변해버리는 현상.
첨엔 근사하다며 나도 사고 싶다던 사람들의 표정이 일그러지더니 결국 관심을 안가지더라는. 게다가 이 검뎅이는 잘 지워지지도 않는다. 집에와서 괜히 짜증이 나서 아랫부분이 까매진 코펠을 쇠솔로 박박 문지른 기억이 난다.
물론 부시크래프트나 미니멀캠핑에서 이런 검댕이는 훈장과 같은 것이다. 싸구려 포트 하나 가져다가 검어지던 말던 사용하면 되지만, 생각외로 외국과 달리 한국의 식문화는 다양한 포트를 사용하게된다. 물만 끓이면 조리가 다 되는 외국과는 다르다. 하지만 이 솔로화목버너의 장점을 포기하기도 싫다.
토토로에 나오는 마쿠로쿠로스케 (검댕이)는 귀엽기라도 하지. 젠장.
아무리 좋아하려고 받아들이려고 해도 검댕이는 싫다. 게다가 만지면 묻어나고 잘 지워지지도 않는다. 아 이 검댕이 어떻게 없앨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하고 열심히 알아보았다. 하지만 나무를 때는 이상 검댕이가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은 없다. 어떻게든 매커니즘 적으로 검댕이를 없애는 하드웨어적인 구조 또한 없다. 몇명의 해외 기술자가 검댕이가 안생기는 솔로 화목버너의 설계도를 내놓았는데, 꼼꼼히 보면 결국 내부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어, 검댕이는 내부에 쌓이게 하고 열과 불만 올라가게 만드는 원리인데, 만들다가 돌아가시겠다는 결론.
그러다가 생각해낸 방법. 포트마다 은박지로 두르는 방식. 은박지에 포트를 둘러서 사용을 한동안 했는데, 이 방식도 그렇게 좋은 방식은 아니었다. 오랫동안 불에 노출된 은박지는 결국 얇아지면서 타버렸다. 그때마다 벗겨서 새 은박지를 갈아주는는데 이것도 불편하고 짜증나는 과정이다. 게다가 은박지 쓰레기가 생기는데 이럴바엔 왜 사용하냐는 의문이 생겼다. 개인용 화목버너는 알콜버너와 같은 저가이며 부산물 생기지 않는 친환경 버너인데.
그러다 찾아낸 최후의 방식은 결국 최첨단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실험해본 결과 아주 만족스럽다.
한번쯤 홈쇼핑에서 봤을 법한 제품. 바베큐 매트 ( Miracle Grill Mat )
[su_youtube_advanced url=”https://youtu.be/TLoKX_ij_sE” width=”720″ autohide=”no” showinfo=”no” rel=”no” https=”yes”]
바베큐매트 홈쇼핑 광고
불소수지를 이용한 테프론코팅 기술중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방식을 이용한 방식의 제품인데, 듀폰(DuPont)사의 Roy Plunkett 박사가 1938년에 개발했다. 이 코팅이 적용된 제품은 최대 290도까지의 고열을 견디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고열에 노출되어도 유해한 물질이 나오지 않아 FDA 와 SGS의 승인을 받은 소재.
이 제품을 보기전엔 열전도 효율이 높은 티타늄 접시등을 화목버너 위에 올려서 일단 검댕이를 막고, 그 접시위에 포트를 올려놓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다 ( 등유난로 위의 올려놓은 주전자속 물이 끓는 원리 ). 하지만 이 방법은 아무래도 열전달에 있어서 더 시간이 걸리는 것은 안봐도 자명했다. 하지만 이 소재를 본 순간 막힌 부분들이 확 풀려버리는 쾌감을 느꼈다.
사진처럼 부시그릴 하나만 더 챙기면 된다. 바로 위에 고기를 얹어 구워먹어도 되고 (익은 고기는 버너불이 닿지 않는 부분에 놓아두면 되는 편리함) 포트를 올려 물을 끓여도 된다. 열전달 효율이 뛰어난 티타늄 소재보다 더 얇아 효율이 좋다.
남는 그릴 매트 부분은 바람막이 기능까지 있어서 굳이 잘라줄 필요는 없어 그냥 사용하기로 했다. 열기는 그대로 전달되고 어떤 포트를 올려놓아도 포트에 검댕이는 묻지 않는다. 이때 몇가지 유념해야 할 점
부시크래프트는 주변의 모든 사물들을 재해석해서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해주는 건강한 레포츠이다. 좋은 첨단 장비로 아주 빨리 후다닥 밥을 해먹은 후, 텐트안에서 더 할일이 있던가? 결국 술이나 마시면서 그 좋은 자연속에서 하루밤을 취해 있을뿐.
부시크래프트는 그렇지 않다. 불편해 보이는 모든 과정이 자연속에서 즐거움이며 배움의 과정이다. 현대사회에서 효율과 합리성을 위해 생략된 많은 소중한 과정들을 이 레포츠를 즐기면서 배우고 느낀다. 일례로 한마리의 닭을 먹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과정이 필요한지 아는지.
사람처럼 따듯한 체온을 가진 닭의 생명을 뺏고, 털을 뽑고 잘라서 데워 조리하는 과정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육류를 과하게 먹으며 우리를 위해 이런 생명들이 순순하고 숭고히 죽음을 맞는지. 닭은 30년을 살지만 몇개월 밖에 살지못한 닭을 먹으며, 전화한통으로 쉽게 배달해 먹는 과정속에 얼마나 많은 죽음과 수고가 들어가 있는지.
부시크래프트로 인해 나는 잘 안다.